이 약관은 (주)에프엠코리아스가 운영하는 edu.fmhaccp.com(이하 "회사"라 한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이하 "서비스"라 한다)를 제공함에 있어 본회와 이용자의 권리, 의무 및 책임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원 본인이 사이트 내의 개인정보관리 페이지를 통해 등록해지 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본회는 무료로 제공하는 서비스의 이용과 관련하여 개인정보보호정책에서 정하는 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사항에 대하여는 어떠한 손해도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본회와 회원 간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하여는 대한민국법을 적용하며, 본 분쟁으로 인하여 소송이 제기될 경우 민사소송법 상의 관할을 가지는 대한민국의 법원에 제기합니다.
본인은 “(주)에프엠코리아스“(이하 ‘회사’라 합니다)가 제공하는 서비스 신청, 상담(이하 ‘서비스’라 합니다)을 이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기관이 본인의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고, 개인정보의 취급을 위탁하는 것에 동의합니다.
기관이 제공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개인정보의 취급과 관련된 사항은, 기관의 개인정보취급방침(기관 홈페이지 www.mois.go.kr)에 따릅니다. 본인은 위 내용을 숙지하였으며 이에 동의합니다.
“(주)에프엠코리아스“ 귀중
본인은 “국세청“의 업무를 대행하여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본인의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및 「신용 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에 따라 본인의 동의를 얻어야 합니다. 이에 본인은 귀사가 아래와 같이 본인의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는데 동의합니다.
개인정보는 개인정보의 수집목적 또는 제공받은 목적이 소멸되면 파기됩니다. 단,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등 기타 관련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법률관계의 확인 등을 이유로 특정한 기간 동안 보유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에는 아래에 정한 기간 동안 보유합니다.
원활한 학습 환경을 위해 로그인 후 교육 서비스를 이용해 주세요.
□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식품제조가공 중 자연 생성되는 신종유해물질의 저감화를 위하여 2008년도 연구사업결과를 토대로 3-MCPD, 바이오제닉아민, HCAs 저감화 실행규범을 마련하여 책자를 발간.배포하고 식품업체를 대상으로 설명회를 개최 하였으며 저감화 TF 운영 등 적극적인 저감화를 추진하였다고 밝혔다.
○ 저감화 실행규범의 주요내용으로는 산분해 간장 제조 시 3-MCPD, 된장 발효 시 바이오제닉아민 및 육류와 생선 조리 시 생성되는 HCAs를 줄이기 위한 최적조건을 제시하였음.
- 3-MCPD (3-monochloropropane-1,2-diol)는 탈지대두를 염산으로 가수분해하여 간장을 만드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유해물질로 국내유통 중(2007년)인 간장의 최대 검출량은 0.27 ppm (기준치 0.3 ppm 이하)으로 안전한 수준이었으나 제조공정 중 산분해시 산의 농도, 중화조건 및 반응시간 등 제조공정을 최적화함으로써 최대 0.02 ppm으로 93%까지 감소함
- 바이오제닉아민 (Biogenic Amines)은 단백질을 함유한 식품의 유리 아미노산이 저장 또는 발효.숙성과정에서 미생물의 반응으로 생성되는 물질로 설사나 복통을 유발하는 히스타민과 혈압상승을 유발하는 티라민 등이 대표적이며 발효숙성 공정을 개선하고 마늘 등 천연식품을 첨가할 경우 30~50%가 감소됨.
. 된장 15건 중 바이오제닉아민(히스타민)의 검출수준은 2005년 연구결과와 유사한 수준으로 42~1069 ppm(평균 : 346 ppm)이었으나 식이 섭취로 인한 유해영향은 없는 것으로 평가함.
. 외국 치즈의 경우 최대 2500 ppm 수준까지 검출되며 기준설정에 의한 관리 보다는 저감화를 추진하고 있음.
- HCAs(Heterocyclic Amines)는 육류와 생선을 고온으로 조리시 자 연 생성되는 물질로서 HCAs 일종인 PhIP는 국제암연구소에서 발암등급 2B(발암 우려물질)이나 국제적으로 식품에 대한 기준은 없으며 2007년도 모니터링 결과 인체 노출수준은 미국보다 아주 낮은 수준이었으며 조리법, 조리온도, 조리시간 및 올리고당 첨가 등 조리과정을 최적화할 경우 66~97%까지 감소함
. 통상적인 소고기 패티 조리 시 HCAs (PhIP 기준)는 264 ppb 정도로 안전한 수준이나 전자렌지로 예열처리(약 2분)한 후 육즙을 버리고 조리할 때 최대 9 ppb로 약 96% 감소함.
. 또한 패티에 마늘이나 올리고당 첨가 시에는 66~85%정도까지 감소함.
. 돼지고기나 생선의 경우 불에 직접 구울 때 보다 삶거나 찔 경우 약 70~97%까지 감소함.
. 따라서 육류 및 생선 조리 시 불에 타지 않도록 주의하고, 끓이거나 찌거나, 향신료를 첨가하거나, 전자레인지에서 예열처리 함으로써 저감화 할 수 있음.
□ 식약청은 지속적인 식품업계의 현장방문을 통해 위와 같은 저감화 기술지원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며, 앞으로도 식품제조가공 중 자연 생성되는 신종유해물질에 대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저감화 연구, 홍보 등을 통하여 식품안전관리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