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약관은 (주)에프엠코리아스가 운영하는 edu.fmhaccp.com(이하 "회사"라 한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이하 "서비스"라 한다)를 제공함에 있어 본회와 이용자의 권리, 의무 및 책임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원 본인이 사이트 내의 개인정보관리 페이지를 통해 등록해지 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본회는 무료로 제공하는 서비스의 이용과 관련하여 개인정보보호정책에서 정하는 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사항에 대하여는 어떠한 손해도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본회와 회원 간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하여는 대한민국법을 적용하며, 본 분쟁으로 인하여 소송이 제기될 경우 민사소송법 상의 관할을 가지는 대한민국의 법원에 제기합니다.
본인은 “(주)에프엠코리아스“(이하 ‘회사’라 합니다)가 제공하는 서비스 신청, 상담(이하 ‘서비스’라 합니다)을 이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기관이 본인의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고, 개인정보의 취급을 위탁하는 것에 동의합니다.
기관이 제공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개인정보의 취급과 관련된 사항은, 기관의 개인정보취급방침(기관 홈페이지 www.mois.go.kr)에 따릅니다. 본인은 위 내용을 숙지하였으며 이에 동의합니다.
“(주)에프엠코리아스“ 귀중
본인은 “국세청“의 업무를 대행하여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본인의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및 「신용 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에 따라 본인의 동의를 얻어야 합니다. 이에 본인은 귀사가 아래와 같이 본인의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는데 동의합니다.
개인정보는 개인정보의 수집목적 또는 제공받은 목적이 소멸되면 파기됩니다. 단,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등 기타 관련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법률관계의 확인 등을 이유로 특정한 기간 동안 보유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에는 아래에 정한 기간 동안 보유합니다.
원활한 학습 환경을 위해 로그인 후 교육 서비스를 이용해 주세요.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개호, 이하 ‘농식품부’)에 따르면, 2018년 김치수출이 9,750만불로 전년 대비 2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수출 증가율 20%는 김치 수출실적을 집계한 이후(2006년~) 최대폭이며, 수출액 9,750만불은 ‘12년 이후 최고치이다.
* 김치수출액 : (‘13) 89백만$ → (’14) 84 → (‘15) 73 → (’16) 79→ (‘17) 81 → (’18) 97
김치 수출국가수도 ‘17년 63개 국에서 ’18년 68개 국가로 늘었으며, 특히 일본수출이 56백만불(전년대비 23% ↑)로 수출증가를 견인하였다.
❍ 그 다음으로 미국(9백만$, 24%↑), 대만(5백만$, 15%↑), 홍콩(4.5백만$, 3%↑), 호주(3백만$, 22%↑) 순이며, 대부분의 국가에서 수출이 증가하였다.
김치의 건강기능성에 대한 인지도 제고와 우리정부의 김치수출에 대한 다양한 홍보 및 지원정책이 수출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 2018년 1월, 영국 ‘가디언’에서 ‘세계 5대 건강식품*’으로 김치를 소개하여 세계적인 관심을 받은 바 있으며,
* 세계 5대 건강식품 : 김치, 렌틸콩, 나또, 올리브유, 요구르트
❍ 11월에는 농식품부가 지원한 ’코리아김치페스티벌‘과 한국김치의 건강기능성에 대한 내용이 일본 NHK를 통해 소개되면서 일본 김치 수출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 ‘코리아김치 페스티벌’(10~11월) : 세계 주요도시에서 김장행사 개최․방송 등을 통해 한국김치의 우수성 홍보
** 11월 일본 김치수출 : (‘17.11월) 390만불 → (‘18.11월) 489만불
❍ 또한, 정부에서는 프랑스 ‘SEAL 박람회’ 등 해외 식품박람회 참가 지원, ‘수출상품화 지원’ 등을 통해 김치수출을 지원하였고,
❍ 우리 김치업체들도 일본 김치 바이어를 초청하여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김치 수출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 ‘한일 김치수출협의회’ 개최(‘18.10.12) : 한국 8개 수출업체, 일본 8개 수입업체 참여
농식품부 김덕호 식품산업정책관은 “폭염 등으로 인한 김치 원료공급의 불안정성과 경기 침체 등 녹녹치 않은 국내외적 여건에서 김치 수출이 크게 증가한 것은 매우 고무적”이라며,
❍ 정부는 “김치수출 증가세가 유지되도록 김치 품질 및 포장개선 등을 위한 연구개발을 확대하고, 수출김치 상품화 지원 등 김치 수출 확대를 위한 다양한 지원방안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첨부파일 : 김치수출 20% 증가, 김치수출통계 작성 이후 최대폭 보도자료(1.17, 조간).hwp
|